분류 전체보기66 [ Code Tree X 글또 ] 코드 트리 4주 사용기 코딩 테스트에 면역력이 없는 사람, 나야 나 코딩을 업으로 삼고 있는 나인데, 코딩테스트가 두려움의 대상인 기막힌 사람이다. 코딩테스트를 막연하게 큰 산이라고 생각하는 게 나의 가장 큰 단점이다.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 이거늘, 천리를 쪼개지 않고 천리 너머로만 보려고 하니 아득하고 두렵게 느껴질 뿐이다. 그러다 글또에서 코드트리와 함께 진행하는 챌린지를 참여하게 되었다. 코드트리는 이번 챌린지를 참여하면서 처음 접해 보았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주변 개발자들도 아름아름 알고 있는 숨겨진(?) 코딩 테스트 맛집이었다.ㅋㅋ 그리고 코딩테스트 공부 맛집이라는 말에 십분 공감하는 중이다.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전에 코드트리를 추천하고 싶은 타입은 다음과 같다. 사실 다 나이다...ㅎㅎ 코딩 테스트를 위한 코딩이 .. 2024. 3. 4. 나만의 글 나무를 키우는 과정 🌳 글쓰기 프로세스 과제를 받고, 나의 글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어떤 일련의 과정에 따라 글을 쓰고 있었다기 보다는, 즉흥적으로 써왔다고 생각했던 나에게는 조금 어려운 과제였다. 즉흥적으로 썼다는 생각은 나의 착각이었다. 생각 해보니, 매번 비슷한 과정을 거쳐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첫 번째, 글의 소재: 심고 싶은 씨앗 찾기 글을 쓰기 직전에 어떤 소재를 쓰고 싶은가부터 고민했던 때가 있었다. "소재"가 특별해야 한다는 생각에 빠져서 시작도 못했던 때였다. "소재"에 대한 후보조차 없었으니 글을 쓰는 시간이 무지막지하게 오래 걸렸던 것으로 기억한다. 글을 시작하기 위한 고민으로만 1주일을 썼던 적도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오?"라는 생각이 스쳤던 토픽들은 모두 노션에.. 2024. 2. 11. 파이썬의 스케쥴러, sched 파이썬의 표준 라이브러리의 일부인 sched 모듈에 대해 알아보자. sched 모듈이란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이벤트 기반의 스케줄링을 위한 간결하고 효과적인 도구이다. 모듈은 특정 시간에 실행되어야 하는 함수나 작업을 예약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주로 단일 스레드 환경에서 사용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는 sched.scheduler 클래스를 활용하여 스케쥴러 객체를 생성하고, 만들어진 객체를 활용하여 이벤트를 관리하고, 스케쥴링한다. 스케쥴러 객체 스케쥴러 객체는 스케줄을 위해 시간에 관한 함수를 필요로 한다. class sched.scheduler(timefunc=time.monotonic, delayfunc=time.sleep) 언제 이벤트를 실행할지, 얼마나 대기할지를 알려주기 위함이다. 대개 .. 2024. 2. 4. DETR(End-to-End Object Detection with Transformers) 모델 리뷰 [논문] DETR 모델에 대해서 알아보자. DETR 모델은 CV 계에서 처음으로 transformer를 적용한 논문이다. NLP에서 핫했던 transformer를 어떻게 CV에 접목 했는지 오늘 포스팅으로 알아보자. Contribution 모델을 뜯어보기 전에 이 논문의 Contribution을 살펴보자. direct set prediction : bounding box와 category를 set형태로 한번에 직접 예측한다. 후처리가 필요하지 않다! COCO 데이터 셋에서 2-stage model인 faster-RCNN과 비슷한 정확도를 보인다. self-attention을 통한 global information을 학습하기 때문에 크기가 큰 객체들을 faster-RCNN보다 잘 포착한다. Main Con.. 2024. 1. 21. 이전 1 2 3 4 5 6 7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