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6

글또의 10기를 매듭 지으며. 어느새 ‘마지막’이 붙었던 10기의 마지막 제출 시간이다.글또를 하며 늘 시작에는 다짐글을 작성했는데, 마무리 글을 작성한 적이 없다는 걸 이 글을 쓰면서 깨달았다.시작이 반이라면, 나머지 반은 끝에 있다. 글또를 참여하면서 얻은 것들이 참 많다.이 소중한 것들을 기억하기 위해서 글또의 대장정을 잘 끝맺어보자.과거를 돌아보자면.7기7기의 나는 어리숙했다. ‘커뮤니티’라는 온라인 관계를 맺어본 것도 처음이었고, 잘 모르는 사람과 만나는 것도 처음이었다.아직 사회에 입성하기도 전이었던 터라 두려움도 많았던 때였다. 나의 글을 모두가 볼 것이라 생각하던 시절이기도 했다.나의 글은 항상 옳은 정보만을 제공해야만 하고, 나의 생각보다는 정확한 사실이 전달되는 것이 기술 블로그의 덕목이라고 생각했다.나의 글이 틀릴.. 2025. 3. 30.
Python 클래스 톺아보기_2편(속성 접근 제어와 관리, 상속, 믹스인) Python 클래스 속성 접근 제어와 관리, 상속, 믹스인오늘은 지난 1편에 이어 Python 클래스 속성 접근 제어와 관리, 상속, 믹스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클래스의 기초와 매직메서드를 정리해둔 1편을 먼저 보는것을 권장한다!1. 클래스 속성 접근 제어python에서는 Java나 C++과 같은 언어처럼 엄격한 접근 제어자(private, protected 등)가 없지만, 네이밍 컨벤션과 속성 디스크립터를 통해 속성에 대한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1-1. Public (공개 속성)일반적으로 클래스 내부에서 정의된 속성은 기본적으로 공개(public)이다. 즉, 어디서든 접근이 가능하다.class Person: def __init__(self, name, age): self.name.. 2025. 3. 16.
Python 클래스 톺아보기 _ 1편 알고리즘을 대대적으로 개발하면서 Python 클래스를 제대로 활용해야 할 일이 많아졌다. 그런데 문득 의문이 들었다. 과연 나는 파이썬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는가? 어언 3년째 파이썬을 써오고 있지만, 여전히 "이 기능 뭐였더라?" 하고 문서를 찾아보는 일이 많다. 특히 클래스의 특별 메서드(매직 메서드)와 고급 기능들은 막상 필요할 때 기억이 나지 않는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클래스의 모든 것을 총정리한 나만의 위키를 만들기로 했다! 3월 2주차까지 총 3편으로 정리할 예정이며, 기본 개념부터 고급 기능까지 파이썬 클래스를 깊이 탐구해볼 계획이다. 📌 연재 계획1편 - 기초와 매직 메서드2편 - 속성 접근 제어와 관리 그리고 상속과 믹스인3편 - 클래스 데코레이터와 메타클래스 이 글을 읽고 나면, 파이.. 2025. 2. 28.
Git : 브랜치, 머지, 스태시 Git의 핵심 기능 가이드: 브랜치, 머지, 스태시1. Branch: Git의 평행우주Git 브랜치는 개발자에게 독립적인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입니다. 평행우주처럼 메인 코드베이스와 분리된 공간에서 자유롭게 개발할 수 있게 해주죠.브랜치 전략일반적인 Git 브랜치 전략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집니다:main (또는 master): 원본 혹은 최종본develop: 개발 중인 코드feature/: 새로운 기능 개발hotfix/: 긴급 버그 수정release/: 배포 준비2. Merge: 평행우주의 통합서로 다른 브랜치를 하나로 합치는 작업, 바로 머지입니다. 개발된 기능을 메인 코드베이스에 통합할 때 사용하죠.머지의 두 가지 방식Fast-forward 머지가장 단순한 형태의 머지브랜치가 직선.. 2025. 2. 16.